현재 집값이 폭락하면서 깡통전세가 늘어나고 있다. 깡통전세는 자칫하면 전세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전세사기로 이어질 확률이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깡통전세란 통상 집주인의 주택담보대출금과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의 80%를 넘을 때를 지칭한다.
깡통전세는 전세 계약 만기 이후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을 때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집주인이 주택담보대출금을 제때에 갚지 못해 집이 경매로 넘어갈 수 있고, 경매에서 낙찰된 금액으로 대출금을 갚고 나면 세입자에게 돌려줄 전세보증금이 모자랄 수 있기 때문이다.
① 전세 시세를 정확히 파악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을 통해서 전세 시세를 파악할수 있으며
실거래 앱도 있으니 전세 시세를 쉽게 파악할수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rt.molit.go.kr
② 계약자가 부동산의 실소유자인지 주민등록증 등으로 확인한다.
주민등록증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1382번으로 전화한뒤 아래와 같이 주민등록 번호와 발급일자를 입력하면 된다.
③ 등기부등본을 통해 부동산의 저당권(빚) 등을 꼭 확인한다.
부동산 앞으로 놓인 빚이 너무 많다면 깡통전세일 확률이 높고 보증금을 돌려 받지 못할 확률이 높아진다.
아래의 글에 등기부 등본 떼는 방법이 나와있다.
https://hello-bilingual.tistory.com/72
부동산 등기부등본 인터넷으로 떼는 방법 / 등기부등본 떼야하는 이유
등기부등본은 부동산에 관한 권리관계 및 현황이 기재된 공적 장부다. 집을 구할때 등기부등본을 반드시 떼야하는 이유는 잘 알아보지 않고 들어간집이 본인도 모르는새에 경매에 넘어가거나
hello-bilingual.tistory.com
④ 계약 당일 확정일자¹⁾를 받고 전입신고를 한다.
확정일자를 받고 전입신고를 한 날부터 보증금 청구 효력일을 인정해주기 때문이다.
이 날짜가 늦어지면 청구권 순위에서 밀려날 확률이 높다. 전입 신고는 동사무소에 방문할 필요 없이 민원 24에서도 온라인 신고가 가능하니 꼭 전입신고를 하도록 하자.
https://www.gov.kr/mw/AA020InfoCappView.do?CappBizCD=13100000016
전입신고 | 민원안내 및 신청 | 민원24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⑤ 깡통전세 근처엔 얼씬도 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는 실거래가를 확인하고 3번과 같이 등기부등본으로 통해 채무상태를 확인해야한다.
⑥ 전세보증금반환보증에 가입한다.
전세 보증금 반환보증이란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않으면 보증기관이 대신 갚아주는 보증상품. 보증기관은 추후 집주인에게 전세보증금을 회수합니다. 보증료는 아파트이면서 전세금이 3억 원이라면 연간 36만6000원 수준. 전셋집에 설정된 대출금과 전세보증금액의 합계액에 따라 보증료의 차이가 있을수도.
전세보증금반환 보증은 주택도시보증공사를 통해서 가입할수 있다.
https://www.khug.or.kr/hug/web/ig/dr/igdr000001.jsp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주택도시보증공사
주택가격 산정기준 - 주택가격은 보증승인일 현재의 ‘가격정보 순서’로 적용 가. 아파트, 오피스텔 및 노인복지주택 나. 그 외 주택 다. 감정평가서 이용 시
www.khug.or.kr
위와 같이 꼼꼼히 따져 전세 계약을 한다면 전세 사기를 당할 일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으니
신중하게 전세계약을 하도록 하자.
자료출처 : BOODING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ltwZrZhlcSM_BYf5792pCgLckUfzbzQ=
🌰 이런 말 하면 의심하세요!
‘전세 사기 수법 망라: 이런 말 하면 의심하세요!’에 대해 다룹니다.
stibee.com
'생활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은행 어플로 이체 확인증 받는 방법 / kb스타뱅킹으로 이체 확인증 받기 (0) | 2022.08.31 |
---|---|
국민은행 어플로 통장사본 받기 / kb스타뱅킹으로 통장사본 받기 (0) | 2022.08.30 |
출석체크만으로 적립 되는 페이코인 PCI 쓱머니로 바꾸는 법 (SSG pay ) 이마트 / 스타벅스 / 이마트24 사용 가능 / 앱테크 (2) | 2022.08.20 |
배달의 민족 개발자가 말하는 이력서 상 프로젝트 기술서 잘 쓰는 방법 (0) | 2022.08.14 |
2022 매운맛 라면 랭킹 스코빌 지수 순위 / 매운 라면 순위 / 제일 매운 라면은? (0) | 2022.08.11 |
댓글